인터넷주소자원 IP주소∙AS번호를 기반(Infrastructure)으로 한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BGP(Border Gateway Protocol)의 IP주소 라우팅 경로정보(Table)규모는 2021년 6월 기준 약 900,000개이며, IP주소를 광고(Advertising)하는 네트워크 세그먼트인 AS번호는 약 70,000개가 인터넷 통신 기반에 사용 중입니다.
그러나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BGP의 결함(缺陷)으로 발생하는 경로누수(Route Leak), 경로하이재킹(Route Hijacking) 등의 라우팅 장애 사례도 지속적으로 발생 중에 있습니다.
|
|||||||||||||||||||||||||||||||||||||
<2020년 전 세계 BGP 라우팅 장애(Hijaks, Leaks) 사례 발생현황(출처 bgpmon.net)> |
BGP의 결함(缺陷) 즉 보안취약점에 대응하고자 2012년부터 인터넷주소자원 사용에 대한 보안기술 표준들이 발표되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주소자원 IP주소, AS번호를 PKI 표준(RFC3779) 기반에 암호화된 인증서를 발행하고, 해당 주소의 라우팅 정보 무결성을 보장하는 인터넷 라우팅 보안 기술인 RPKI가 발표되었습니다.(RFC6480, 2012. 2)
IP주소, AS번호 인터넷주소자원(Resource)을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표준 기반으로 암호화된 인증서를 발행하여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RPKI)"로 정의하여 지칭하고 있습니다.
BGP 보안취약점 | RPKI |
---|---|
|
|
|
|
|
|
<BGP보안취약점 vs RPKI> |
라우팅 인증(RPKI)은 인터넷주소자원 소유기관 및 IP주소, AS번호 등을 PKI(공개키 기반 암호화)를 기반으로 전자서명 처리하여 해당 라우팅 정보의 무결성을 인증하는 것입니다.
할당된 IP주소에 대한 전자 서명된 증명서를 주소자원 인증서(Resource Certification)라 하고, 이 인증서를 기반으로 IP주소에 대한 BGP 라우팅 권한이 있음을 AS 번호와 함께 신뢰할 수 있는 객체(Objcets) 정보들로 작성하여 전자 서명한 것을 경로원점인증서(ROA, Route Origin Authorization)라고 합니다.
라우팅 인증(RPKI)은 경로원점인증서(ROA)를 이용하여 인터넷 통신 상의 비정상 경로(Route) 정보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경로원점인증서(ROA) 파일 구조
|
<경로원점인증서(ROA) 파일 구조> |
AS4745의 IP주소와 동일한 주소 대역 1.16.66.0/24를 AS3357에서 실수 또는 악의적으로 라우팅 경로 광고 시에 BGP 특성상 기존 정상 경로 AS9695 – AS9568 - AS4745 보다도 경로가 짧은 비정상 경로 AS9695 - AS3357로 패킷이 라우팅 됩니다.
AS9695의 라우터가 RPKI를 활성화하게 되면 RPKI 서버로부터 받은 ROA(Route Origin Authorization)정보와 BGP 정보의 비교 결과인 ROV(Route Origin Validation) 정보를 통해 비정상 경로(Invaild)를 탐지할 수 있습니다.
AS4745 네트워크 운영자는 IP주소 대역 1.16.66.0/24에 대한 BGP 라우팅 권한이 AS4745에 있음을 사전에 인증 받은 ROA(Route Origin Authorization) 인증서를 글로벌 RPKI 시스템에 반영시켜 놓으면 RPKI 캐시(Cache) 서버에서 ROA 정보를 RPKI 라우터로 제공하여 비정상 라우팅 경로를 탐지 또는 차단할 수 있습니다.
RIR - APNIC(ARIN,AFRINIC,LACNIC,RIPE NCC)
NIR - KISA(KRNIC)
LIR - ISP-1
ROA 정보
인터넷주소자원 할당인증체계 설명
|
<인터넷주소자원 할당과 인증 체계> |
라우팅 인증 시스템 구성은 라우팅 인증을 하는 방식에 따라 통합(Hosted) 방식과 위임(Delegation) 방식으로 구분합니다. 통합방식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별도의 CA서버, 저장소를 구성하지 않고 아태지역 네트워크정보센터(APNIC) 같은 상위 인터넷 등록관리기구의 RPKI 시스템에 접속하여 ROA를 신청하는 방식입니다. 위임방식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한국인터넷진흥원, 아태지역네트워크정보센터에 각각 CA서버, 저장소를 구성하여 할당받은 IP주소 AS번호 주소자원에 대한 인증을 받고, ROA를 직접 생성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현재 글로벌 RPKI 시스템은 두가지 방식으로 혼용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신규 생성된 또는 최종 갱신된 ROA 데이터는 RPKI 캐시서버를 통해서 RPKI 라우터로 제공됩니다. |
<라우팅 인증(RPKI) 시스템 구성> |
∙ RPKI 지원 라우터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라우터 제조사 | 운영체제(O/S) |
---|---|
주니퍼네트웍스 www.junifer.net |
∙ Junos OS 12.2 버전 이상 |
시스코시스템즈 www.cisco.com |
∙ IOS 15.2 버전 이상 ∙ IOS/XR 4.3.2 버전 이상 |
노키아 www.infocenter.nokia.com |
∙ SR OS R12.0R4 버전 이상 |
∙ RPKI 캐시(검증)서버 오픈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 웹사이트 |
---|---|
OctoRPKI | https://github.com/cloudflare/cfrpki |
GoRTR | https://github.com/cloudflare/gortr |
Routinator | https://nlnetlabs.nl/projects/rpki/routinator |
RTRlib | https://rpki.realmv6.org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IP주소/AS번호 할당관리 홈페이지(ip.kisa.or.kr)의 'Route등록신청' 페이지에서 라우팅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신청 받아 APNIC 시스템(IRR, RPKI)에 등록해주는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